공부는 궁둥이지/아직 못정했어
단백질 정량 종류 및 비교
mingnine
2021. 5. 10. 20:11
BCA | Biuret | lowry(로우리) | Bradford | |
원리 |
Bicinchoninic acid |
두개이상의 펩티드 결합을 가진 단백질이 알칼리성 용액에서 묽은 황산구리와 반응하면 자주색을 띠는 착화합물을 생성 540-560nm |
folin-ciocalteau시약+단백질→ 청남색 + 단백질의 환원 능력을 이용(Cu2+→Cu1+) 600nm |
Coomassi Blue G-250 dye 산성조건에서 붉은색 이었던 dye가 단백질과 결합하고 푸른색으로 바뀜 450nm |
장점 |
알칼리에 안정 |
모든 단백질에 대해 재현성이 좋음 | 단백질 종류에 따른 편차가 적다 건조된 시료에서도 이용 가능 |
발색반응 2분내 완료 빠르고간단 감도가 높다 |
단점 |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에따라 반응이 상이 환원당 존재시 민감 | Proline은 복합체 형성에 참여할 수 없고 구리이온이 환원되기떄문에 감도가 낮음 | 단백질이 비가역적으로 변성된다 반응속도가 느리다 |
Detergent에 영향을 받음 단백질 마다 dye와 결합 정도가 다름 |
*BCA: 환원된 구리는 Bicinchoninic Acid(BCA) 분자 2개와 반응하여 보랏빛의 착물을 형성한다.
참고하기 좋은 자료↓
https://assets.thermofisher.com/TFS-Assets/LSG/manuals/MAN0011430_Pierce_BCA_Protein_Asy_UG.pdf
*Bradford: 단백질의 중성상태를 무너뜨리게 되면서 소수성부위가 노출되고 이는 반데르발스 힘으로 단백질과 결합